본문
이번에 배우게 될 것은 앞에에서 타임차트로 배운것들과는 조금 다른것이다. 이때까지 1비트만 사용을 해서 해왔다. 이것은 보통 일반모터를 돌리거나 정역제어를 하거나 실린더를 제어하면서 반복을 만들기위해서는 필수로 알아야하는 것들이며
이것들은 많이 사용을 하면서 제일 많이 사용할 것이며 많이 사용을 해봐야할 것들이다. 하지만 앞으로 배워야 할 것은 1비트가 아닌 4비트인 니블데이터, 8비트인 1바이트, 16비트인 워드, 32비트인 더블워드, 64비트인 롱워드 등 크기에 따른 분류도 있고 BCD코드, 그레이코드 등 사용분류에 따른 분류도 있다. 이것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우선 GMWIN에서 변수를 만들어 보자.
왼쪽의 사진은 변수를 만드면서 많이 봤을꺼라 생각된다. 우선 다른것은 기본 데이터 타입인대 일단은 제일작은 8비트인 1바이트 형식을 사용할것이다. 1바이트는 2진수 8개 즉 8개의 숫자를 다룰수 있는대 이것은 0부터인 255까지의 숫자를 쓸수있다. 그리고 워드인 경우 0부터
인 6,5536까지의 숫자를 쓸수 있다. 일단 1바이트를 사용하면서 익숙해 질것이다.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IN에다가는 상수를 넣어서 고정적인 수를 넣을 수도 있고, 변수를 넣어서 다른곳에 저장한 변수를 Out에 있는 변수에 수시로 바꿔서 저장시킬수도 있기 때문에 이 펑션은 사용법은 매우 간단하/지만 어떻게 사용하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양이 매우 달라질수 있는 펑션이므로 잘 알아두는 것이 좋다.
.
'IT센터 > GLOFA PLC 시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SET코일과 RESET코일과 같이 배우는 RS, SR펑션 (0) | 2014.03.10 |
---|---|
10.센서입력으로 많이 사용되는 타이머 TP (0) | 2014.03.10 |
09.가산카운터 CTU, 감산카운터 CTD, 가감산카운터 CTUD (0) | 2014.03.04 |
08.ON타이머, OFF타이머와 같이 배우는 타임차트 (0) | 2014.03.03 |
07.내부접점과 펑션, 펑션블럭 (0) | 201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