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우선 내부접점에 대해 설명을 할 것이다. 저번에 네임드변수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을 것이다. 아래의 사진과 같이 네임드변수 만드는 곳에서 사용자 정의가 아닌
자동으로 선택하게 되면 간단히 내부접점이 사용되게 된다. 내부접점을 사용하
는 다음은 펑션과 펑션블럭이다. PLC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기능을 다루는것이다. 보통 이때까지 배운 접점은 a,b 접점으로 조건이 입력이들어가면 바로 출력이 나오지만, 이 펑션과 펑션블럭을 생성했을 경우에는 몇번을 누르느냐 몇초이상 누르냐에 따라 출력이 달라질수 있으며 나중에 배우겠지만 a,b 접점같은 1비트처리가 아닌 8비트이상의 처리도 가능하게 된다.이유는 매우 간단하다. 후에가면 PLC의 접점이 많이 사용되게 되는대, 모두 출력이 생성되는 접점으로 생성한다면 PLC의 32개나 64개밖에 안되는 접점으로는 모두 만들지 못하고 접점이 부족할수 있기 때문에 CPU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내부의 접점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로인해 오른쪽과 같은 프로그램이 사용되며 우리가 만들수있는 내부접점과 나중에 배우게 될 펑션블럭을 생성할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내부접점 등 많은곳에 사용되니 알아두는것이 좋다.
위의 사진과 같지 펑션과 펑션블럭을 누르게되면 다양한 펑션들을 사용가능하며 저 많은 펑션들을 모두 사용하게 될때까지 배우게 될 것이다. 하지만 많이 어렵지는 않을것이다. 기능이 비슷한 펑션들도 있고 우리가 기본적으로 알고있는 사칙연산의 펑션들이나 시간관련 펑션들이기 때문에 익숙한 기능들도 많을것이다. 지급부터 겁먹지 말고 천천히 배워가보자.
'IT센터 > GLOFA PLC 시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가산카운터 CTU, 감산카운터 CTD, 가감산카운터 CTUD (0) | 2014.03.04 |
---|---|
08.ON타이머, OFF타이머와 같이 배우는 타임차트 (0) | 2014.03.03 |
06.양변환접점과 음변환접점 그리고 인터록 (0) | 2014.02.25 |
05.PLC의 네임드 변수 사용법과 자기유지 (0) | 2014.02.25 |
04.기초 접점 사용 및 시뮬레이터 사용 (0) | 2014.02.24 |